활성탄(Activated Carbon)은 야자각, 목재류, 갈탄, 무연탄, 유연탄 등의 탄소질을 원료로 제조되는 미세세공이 잘 발달된 무정형 탄소의 집합체로서, 활성화과정 을 통해 분자 크기 정도의 미세세공이 형성되어 큰 내부표면적을 갖는 흡착제이다. 활성탄은 1g당 1000㎡ 이상의 큰 내부 표면적을 갖으며 이 내부표면에 존재하는 탄소원자의 관능기가 주위의 액체 또는 기체에 인력을 가하여 피흡찰질의 분자를 흡착하는 성질이 있다.
활성탄의 분류
물리적 현상에 의한 분류
분말상, 파쇄상, 조립상, 섬유상 등
원료에 의한 분류
식물질 : 야자각, 목재, 톱밥, 목탄 등
석유질 : 석유잔사, 황산슬러지, 오일카본 등
석탄질 : 유연탄, 무연탄, 갈탄, 이탄 등
기타 : 펄프폐액 ,합성수지 폐재 , 유기질 폐기물 등
활성화 방법에 의한 분류
가스활성화법
각종 산화성가스(수증기, 이산화탄소, 공기 등)에 의해 900~1100℃ 정도의 고온가스 활성화 반응으로 부활되고 흡착성능은 산화성 가스의 화확적성질과 농도, 반응온도, 부활시간, 원료등에 포함되어 있는 양과 종류등에 의해서 결정되며 크게 회전로(Rotary Kiln)와 다단로(Multiple Hearth Furnace)를 이용 제조된다.
약품활성화법
탈수성의 염류 및 염화칼슘, 염화마그네슘, 염화아연, 인산, 황산들의산을 사용하여 약품처리하는 부활법으로제조공정의 복잡성, 장치부식, 2차오염 및 경제성등으로 주고 가스활성화법인 수증기부활법이 널리 이용되고있다.
기타 약품, 가스 병용 활성화법
특정의 용도에 대한 활성탄의 세공구조를 변화시켜 흡착성능의 다양화를 꾀하는 목적에서 이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.